제주특별자치도,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 사업 본격 추진
관광업계 구인난 해소를 위해
고성민 기자입력 : 2025. 03. 30(일) 20:18

제주특별자치도,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 사업 본격 추진
[시사종합신문 = 고성민 기자] 제주특별자치도가 관광업계 구인난 해소를 위해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제주도는 이번 사업을 통해 기업의 인력난 해소와 청년층의 지역 정착이라는 이중 효과를 달성하겠다는 전략이다.
사업은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추진된다. 먼저 ‘제주관광 일자리도약장려금+’는 생활임금 이상을 지급하는 기업이 2025년 3월 21일 이후 정규직 근로자를 채용할 경우 5개월 동안 매월 100만 원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기업의 고용 확대와 함께 근로자의 임금 수준 향상을 유도한다.
‘제주관광 장기재직 지원금’은 근로자를 직접 지원하는 사업이다. 정규직으로 채용된 청년이 3개월 이상 근속할 경우 3개월 차와 5개월 차에 각각 100만 원의 취업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또한 6개월 이상 계속 재직하는 근로자에게는 최대 100만 원의 장기근속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일·가정 양립 환경개선 지원금’은 관광업계의 근무 환경 개선을 위한 사업이다. 단시간근로제, 시차출퇴근제, 선택근무제 등을 도입하는 사업주에게는 월 50만 원에서 150만 원까지 최대 5개월간 간접노무비를 지원한다. 이러한 유연근무제를 활용하는 근로자에게는 월 10만 원의 교통비가 최대 5개월간 지급된다.
이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과 근로자는 오는 6월 30일까지 신청할 수 있다. 다만, 2025년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사업인 만큼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제주도 누리집 공고를 확인하거나 사업별 운영기관을 통해 문의하면 된다.
김미영 제주도 경제활력국장은 “이번 사업은 관광업계 구인난에 적극 대처하기 위해 사업주와 근로자 모두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설계해 국비를 확보했다”며 “관광업계의 인력난을 해소하고 청년 인구 유출을 방지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사업은 고용노동부 공모에 선정된 것으로, 제주도는 국비 9억 8,000만 원과 도비 2억 5,000만 원 등 총 12억 2,100만 원을 투입해 관광 관련 업종에서 245개의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제주도는 이번 사업을 통해 기업의 인력난 해소와 청년층의 지역 정착이라는 이중 효과를 달성하겠다는 전략이다.
사업은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추진된다. 먼저 ‘제주관광 일자리도약장려금+’는 생활임금 이상을 지급하는 기업이 2025년 3월 21일 이후 정규직 근로자를 채용할 경우 5개월 동안 매월 100만 원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기업의 고용 확대와 함께 근로자의 임금 수준 향상을 유도한다.
‘제주관광 장기재직 지원금’은 근로자를 직접 지원하는 사업이다. 정규직으로 채용된 청년이 3개월 이상 근속할 경우 3개월 차와 5개월 차에 각각 100만 원의 취업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또한 6개월 이상 계속 재직하는 근로자에게는 최대 100만 원의 장기근속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일·가정 양립 환경개선 지원금’은 관광업계의 근무 환경 개선을 위한 사업이다. 단시간근로제, 시차출퇴근제, 선택근무제 등을 도입하는 사업주에게는 월 50만 원에서 150만 원까지 최대 5개월간 간접노무비를 지원한다. 이러한 유연근무제를 활용하는 근로자에게는 월 10만 원의 교통비가 최대 5개월간 지급된다.
이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과 근로자는 오는 6월 30일까지 신청할 수 있다. 다만, 2025년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사업인 만큼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제주도 누리집 공고를 확인하거나 사업별 운영기관을 통해 문의하면 된다.
김미영 제주도 경제활력국장은 “이번 사업은 관광업계 구인난에 적극 대처하기 위해 사업주와 근로자 모두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설계해 국비를 확보했다”며 “관광업계의 인력난을 해소하고 청년 인구 유출을 방지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