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 갈등으로 인한 포스코 사내하청 포트엘 직장폐쇄
소통하는 노사문화가 필요하다.
오승택 기자입력 : 2023. 06. 23(금) 10:46

노사 갈등으로 인한 포스코 사내하청 포트엘 직장폐쇄
[시사종합신문 = 오승택 기자] 포스코 사내하청 포트엘이 노조의 고공농성, 하역업체의 기습파업 등에 대한 방어 수단으로 직장폐쇄까지 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전년도에도 노조의 무리한 임금인상 요청으로 갈등을 겪다가 자본금까지 잠식당하는 경영난에 은행 대출이 불가해지자 주변 회사에서 경영진의 신용으로 운영자금을 차입해 임금인상을 했다고 한다.
이번 사태에 대해 노조는 “사측은 2021년 임금 인상으로 인해 적자가 났다며 다음 해 노조의 13% 임금 인상 요구를 거부하고 임금동결을 고수했고, 10일 노조의 파업을 기다렸다는 듯이 일부 근로자들의 노무수령을 거부하고, 사업장 내 퇴거 요구가 가능할 수 있는 직장폐쇄를 했다”고 주장했다.
반면 사측은 “노조와의 교섭 재개 후 2022년 임금동결과 격려금 50만 원 지원, 2023년 영업이익에서 2억 원 범위에서 성과금을 분배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나, 노조는 임금동결 수용 조건으로 행정그룹장 보직해임과 직책자 수 축소, 직책수당 삭감 등 인사권을 침해하는 무리한 요구를 지속적으로 하였으며, 지난 4월부터는 노조의 새벽 시간대 기습적인 돌발파업으로 하역기 운행이 중단되는 등 회사의 손실이 가중되고, 대체인력의 피로도 누적에 따른 안전에 심각한 문제가 제기되는 상황이었다. 그런데도 6월 10일부로 무기한 전면파업에 돌입했고, 이에 따른 심각한 경제적 피해가 우려되어 사전 예방이 불가피함에 부득이 직장폐쇄를 실시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이러한 노사관계를 바라보는 시민들과 지역사회의 근심은 더 깊어지고 있다.
또한, 광양시의 수수방관도 한몫하고 있다. 광양시는 여론 청취 등을 통해 이번 사태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은 후 노사의 적극적인 대화의 창구를 열어주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 나가서는 지역의 이익과 회사의 발전을 위해서는 노사가 진정성을 갖고 대화에 응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자세가 필요하며, 노사 간 극단적 대치보다 문제 해결을 위한 대화와 소통이 필요하다.
이번 파업과 직장폐쇄가 된 회사는 제철소 원료 하역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로 제철소 조업의 첫머리 관문 역할을 하는 중요한 업무로 직원들의 자긍심도 대단하고 제철소에서 타 작업을 하는 협력사와 비교해서 처우도 괜찮았다고 한다.
전년도에도 노조의 무리한 임금인상 요청으로 갈등을 겪다가 자본금까지 잠식당하는 경영난에 은행 대출이 불가해지자 주변 회사에서 경영진의 신용으로 운영자금을 차입해 임금인상을 했다고 한다.
이번 사태에 대해 노조는 “사측은 2021년 임금 인상으로 인해 적자가 났다며 다음 해 노조의 13% 임금 인상 요구를 거부하고 임금동결을 고수했고, 10일 노조의 파업을 기다렸다는 듯이 일부 근로자들의 노무수령을 거부하고, 사업장 내 퇴거 요구가 가능할 수 있는 직장폐쇄를 했다”고 주장했다.
반면 사측은 “노조와의 교섭 재개 후 2022년 임금동결과 격려금 50만 원 지원, 2023년 영업이익에서 2억 원 범위에서 성과금을 분배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나, 노조는 임금동결 수용 조건으로 행정그룹장 보직해임과 직책자 수 축소, 직책수당 삭감 등 인사권을 침해하는 무리한 요구를 지속적으로 하였으며, 지난 4월부터는 노조의 새벽 시간대 기습적인 돌발파업으로 하역기 운행이 중단되는 등 회사의 손실이 가중되고, 대체인력의 피로도 누적에 따른 안전에 심각한 문제가 제기되는 상황이었다. 그런데도 6월 10일부로 무기한 전면파업에 돌입했고, 이에 따른 심각한 경제적 피해가 우려되어 사전 예방이 불가피함에 부득이 직장폐쇄를 실시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이러한 노사관계를 바라보는 시민들과 지역사회의 근심은 더 깊어지고 있다.
또한, 광양시의 수수방관도 한몫하고 있다. 광양시는 여론 청취 등을 통해 이번 사태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은 후 노사의 적극적인 대화의 창구를 열어주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 나가서는 지역의 이익과 회사의 발전을 위해서는 노사가 진정성을 갖고 대화에 응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자세가 필요하며, 노사 간 극단적 대치보다 문제 해결을 위한 대화와 소통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