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에서 소방안전관리자의 역할
서귀포시 표선면 주민자치팀장 강태영
시사종합신문입력 : 2024. 07. 21(일) 11:47

서귀포시 표선면 주민자치팀장 강태영
[시사종합신문] 얼마 전에 40시간의 공공기관 소방안전관리자 강습교육을 받고 왔다.
소방안전관리자 선임 제도는 1958년 3월 11일 소방법 제정 때 부터 시행됐다. 일정 규모 이상의 특정 소방대상물에 화재안전 책임자를 지정해 소방안전 관리업무를 담당하게 하는 제도이다.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와 역할은 안전관리계획 수립부터 화재의 예방과 대응까지 크게 세가지 역할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된 사람은 시설물의 안전관리를 위한 소방계획을 수립하고 자위소방대 구성 및 초기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소방훈련 및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화재의 예방을 위해서 화재감지기, 스프링클러, 소화전 등 소방시설 및 인화성, 발화성의 위험물을 상시 점검하고 관리하여야한다.
셋째, 화재발생 시 자위소방대와 함께 화재의 전파(비상방송)와 119 신고, 초기진압 활동을 신속하게 해야하며, 동시에 사람들을 안전한 곳으로 대피 시켜야 한다. 특히, 노인‧장애인‧임산부 등 피난 약자는 더욱 신경써야 하며, 응급환자는 현장에서 심폐소생술 실시 및 심장제세동기 가동 등 응급조치를 취해야 한다.
앞서 말했듯이 제주 사회에서 각 주택에서는 가장이, 감귤하우스에서는 농가주가 선박에서는 선장 등이 소방안전관리자로서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화재는 예방이 우선이다. 소방안전관리자의 적극적인 활동이 화재로부터 소중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현대사회에서 건축물의 건설은 점점 복잡하고 거대화되고 있는데 이러한 소방대상물(공동주택, 근린생활시설, 업무시설, 공장, 문화재 등)의 증가와 다양한 위험물질의 범람과 함께 대형화‧고층화 되는 생활환경의 변화는 각종 재난재해 시 피해를 키우고 있는데, 실제매스컴을 통해 안타까운 소식을 접하곤 한다.
소방안전관리자 선임 제도는 1958년 3월 11일 소방법 제정 때 부터 시행됐다. 일정 규모 이상의 특정 소방대상물에 화재안전 책임자를 지정해 소방안전 관리업무를 담당하게 하는 제도이다.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와 역할은 안전관리계획 수립부터 화재의 예방과 대응까지 크게 세가지 역할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된 사람은 시설물의 안전관리를 위한 소방계획을 수립하고 자위소방대 구성 및 초기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소방훈련 및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화재의 예방을 위해서 화재감지기, 스프링클러, 소화전 등 소방시설 및 인화성, 발화성의 위험물을 상시 점검하고 관리하여야한다.
셋째, 화재발생 시 자위소방대와 함께 화재의 전파(비상방송)와 119 신고, 초기진압 활동을 신속하게 해야하며, 동시에 사람들을 안전한 곳으로 대피 시켜야 한다. 특히, 노인‧장애인‧임산부 등 피난 약자는 더욱 신경써야 하며, 응급환자는 현장에서 심폐소생술 실시 및 심장제세동기 가동 등 응급조치를 취해야 한다.
앞서 말했듯이 제주 사회에서 각 주택에서는 가장이, 감귤하우스에서는 농가주가 선박에서는 선장 등이 소방안전관리자로서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화재는 예방이 우선이다. 소방안전관리자의 적극적인 활동이 화재로부터 소중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