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의 관리자 ‘뇌’
김희진 한양대학교병원 신경과 교수
시사종합신문입력 : 2020. 03. 11(수) 12:38
[시사종합신문] 중추신경계를 담당하는 뇌는 생명 활동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뇌는 뇌량으로 연결된 2개의 대뇌반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뇌량에 의한 연결은 두 대뇌반구의 신호전달과 상호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뇌는 컴퓨터와 같아서 각 부위는 정해진 역할이 있다.전두엽은 대뇌반구의 전방에 있는 부분으로 전전두엽 관련 영역에서 기억력.사고력 등의 고차원적인 행동을 관장하며 다른 연합 영역으로부터의 정보를 조정하고 행동을 조절한다.
브로카 영역에서는 언어의 운동 영역을 담당한다. 두정엽은 마루엽이라고도 하며 중심고랑과 두정후두고랑 사이, 바깥쪽 틈새 상부에 있어 기관에 운동명령을 내리는 운동중추가 있다.
체감각 피질과 감각 연합 영역이 있어 촉각, 압각, 통증의 체감각의 처리에 관여하며 피부, 근골격계, 내장, 미뢰로부터의 감각 신호를 담당한다.
측두엽은 대뇌반구의 양쪽 옆에 있는 부분으로 청각 연합 영역과 청각 피질이 있어 청각 정보의 처리를 담당한다. 또한 언어를 이해하는 베르니케 영역이 있고, 이외에도 일차시각피질에서 유래한 정보가 도달해 색, 모양을 인지하며, 특이적으로 얼굴을 인식하는 세포가 존재한다.
측두엽의 일부인 해마는 장기기억 전환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후두엽은 뒤통수엽이라고도 하며 바깥쪽 표면에서 두정후두고랑 위쪽 끝부분과 후두전 패임을 잇는 가상적인 선의 뒤쪽 부분이고, 안쪽 표면에서는 두정후두고랑의 뒤쪽 부분이다.
시각연합영역과 시각피질이라고 하는 시각중추가 있어 시각정보의 처리를 담당한다. 눈으로 들어온 시각정보가 시각피질에 도착하면 사물의 위치, 모양, 운동 상태를 분석한다. 소뇌 몸의 균형을 잡는 추 소뇌는 감각 인지의 통합과 운동 근육의 조정·제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교뇌 등쪽의 제4뇌실에 들씌워지듯이 존재하는 큰 구조이며, 가로 10cm, 세로 5cm, 높이 3cm, 무게는 약 150g 정도이다.
소뇌의 주된 작용은 골격근의 활동 조절을 하는 것이다. 어떤 운동을 할지, 그러기 위해서는 몇 가지 근육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계획은 대뇌피질의 전두엽에서 하지만, 실제로 운동이 시작되고 나서 그 계획대로 여러 활동이 세밀하게 실현되도록 하는 것은 피드백 기구로 관여하는 소뇌이다.
소뇌로 들어갈 감각 정보는 몸의 주변부에 있는 체성 수용체와 내이 안에 위치한 반고리관과 전정기관으로부터 보내진다. 또한 소뇌는 대뇌피질의 뉴런으로부터 오는 운동 정보를 받아 움직임을 조절하게 된다.
소뇌는 근육운동, 평형감각 조절을 한다. 만약에 소뇌가 없다면 땅에 있는 물건을 잡으려고 할 때 손이 엉뚱한 방향으로 가더라도 조절할 수 없고, 다리에 힘이 없어져서 서 있지도 못한다.
뇌간 생명을 유지하는 역할 뇌간에는 중뇌, 교뇌, 연수가 있다. 호흡과 심장 운동을 조절하는 생명 중추와 혈관의 수축과 이완, 하품, 기침, 재채기, 구토 등의 반사 작용이 뇌간에서 이루어진다. 대뇌나 소뇌는 어느 정도의 손상이 있더라도 죽음으로 이어지지는 않는 반면에 뇌간의 손상은 바로 죽음과 연결된다.
중뇌는 뇌줄기 아래쪽 부위와 간뇌 사이의 비교적 작은 지역으로 주로 안구 운동, 홍채 조절의 역할을 한다. 중뇌는 상구와 하구로 나눌 수 있는데, 상구는 주로 시각에 관여하는 부분이고 하구는 주로 청각에 관여한다. 교뇌는 중뇌와 연수 사이 뇌줄기에 존재하며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교뇌의 주요 작용은 소뇌와 대뇌 사이의 정보전달을 중계하는 것이며 연수와 함께 호흡 조절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연수는 뇌 구조의 가장 아래에 있다. 척수와 곧바로 연결되어 있으며 호흡이나 혈액 순환을 조절한다. 연수에서 나가는 신경은 뇌 전체에서 나가는 뇌 신경 12쌍 중 8쌍에 달하며 이들은 인간의 생존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움직임과 행동을 관장하는 중요한 기관이므로 대부분의 척추동물의 뇌는 머리뼈로 보호된다. 성인의 뇌 무게는 약 1,400~1,600g 정도이며 이는 1,000억 개 정도의 뉴런을 포함한다. 부피는 가로 15cm, 너비 15cm, 깊이 20cm로 평균 1,350cc 정도다.
대뇌
감각.운동.정신 활동의 중추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으로 구성되어있는 대뇌는 감각과 운동의 중추일 뿐만 아니라 기억이나 판단 등 정신 활동의 중추이다.
대뇌는 뇌량으로 연결된 2개의 대뇌반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뇌량에 의한 연결은 두 대뇌반구의 신호전달과 상호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뇌는 컴퓨터와 같아서 각 부위는 정해진 역할이 있다.전두엽은 대뇌반구의 전방에 있는 부분으로 전전두엽 관련 영역에서 기억력.사고력 등의 고차원적인 행동을 관장하며 다른 연합 영역으로부터의 정보를 조정하고 행동을 조절한다.
브로카 영역에서는 언어의 운동 영역을 담당한다. 두정엽은 마루엽이라고도 하며 중심고랑과 두정후두고랑 사이, 바깥쪽 틈새 상부에 있어 기관에 운동명령을 내리는 운동중추가 있다.
체감각 피질과 감각 연합 영역이 있어 촉각, 압각, 통증의 체감각의 처리에 관여하며 피부, 근골격계, 내장, 미뢰로부터의 감각 신호를 담당한다.
측두엽은 대뇌반구의 양쪽 옆에 있는 부분으로 청각 연합 영역과 청각 피질이 있어 청각 정보의 처리를 담당한다. 또한 언어를 이해하는 베르니케 영역이 있고, 이외에도 일차시각피질에서 유래한 정보가 도달해 색, 모양을 인지하며, 특이적으로 얼굴을 인식하는 세포가 존재한다.
측두엽의 일부인 해마는 장기기억 전환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후두엽은 뒤통수엽이라고도 하며 바깥쪽 표면에서 두정후두고랑 위쪽 끝부분과 후두전 패임을 잇는 가상적인 선의 뒤쪽 부분이고, 안쪽 표면에서는 두정후두고랑의 뒤쪽 부분이다.
시각연합영역과 시각피질이라고 하는 시각중추가 있어 시각정보의 처리를 담당한다. 눈으로 들어온 시각정보가 시각피질에 도착하면 사물의 위치, 모양, 운동 상태를 분석한다. 소뇌 몸의 균형을 잡는 추 소뇌는 감각 인지의 통합과 운동 근육의 조정·제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교뇌 등쪽의 제4뇌실에 들씌워지듯이 존재하는 큰 구조이며, 가로 10cm, 세로 5cm, 높이 3cm, 무게는 약 150g 정도이다.
소뇌의 주된 작용은 골격근의 활동 조절을 하는 것이다. 어떤 운동을 할지, 그러기 위해서는 몇 가지 근육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계획은 대뇌피질의 전두엽에서 하지만, 실제로 운동이 시작되고 나서 그 계획대로 여러 활동이 세밀하게 실현되도록 하는 것은 피드백 기구로 관여하는 소뇌이다.
소뇌로 들어갈 감각 정보는 몸의 주변부에 있는 체성 수용체와 내이 안에 위치한 반고리관과 전정기관으로부터 보내진다. 또한 소뇌는 대뇌피질의 뉴런으로부터 오는 운동 정보를 받아 움직임을 조절하게 된다.
소뇌는 근육운동, 평형감각 조절을 한다. 만약에 소뇌가 없다면 땅에 있는 물건을 잡으려고 할 때 손이 엉뚱한 방향으로 가더라도 조절할 수 없고, 다리에 힘이 없어져서 서 있지도 못한다.
뇌간 생명을 유지하는 역할 뇌간에는 중뇌, 교뇌, 연수가 있다. 호흡과 심장 운동을 조절하는 생명 중추와 혈관의 수축과 이완, 하품, 기침, 재채기, 구토 등의 반사 작용이 뇌간에서 이루어진다. 대뇌나 소뇌는 어느 정도의 손상이 있더라도 죽음으로 이어지지는 않는 반면에 뇌간의 손상은 바로 죽음과 연결된다.
중뇌는 뇌줄기 아래쪽 부위와 간뇌 사이의 비교적 작은 지역으로 주로 안구 운동, 홍채 조절의 역할을 한다. 중뇌는 상구와 하구로 나눌 수 있는데, 상구는 주로 시각에 관여하는 부분이고 하구는 주로 청각에 관여한다. 교뇌는 중뇌와 연수 사이 뇌줄기에 존재하며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교뇌의 주요 작용은 소뇌와 대뇌 사이의 정보전달을 중계하는 것이며 연수와 함께 호흡 조절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연수는 뇌 구조의 가장 아래에 있다. 척수와 곧바로 연결되어 있으며 호흡이나 혈액 순환을 조절한다. 연수에서 나가는 신경은 뇌 전체에서 나가는 뇌 신경 12쌍 중 8쌍에 달하며 이들은 인간의 생존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